임배우의 작업실

뮤지컬을 분류하는 기준은 정말 다양합니다. 분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뮤지컬의 역사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렇게 되면 흥미를 느끼기보다는 왠지 공부를 해야할 것만 같은 압박감이 들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특정 분류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많이 듣게 되는 뮤지컬 종류를 중심으로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창작 뮤지컬 [Creative Musical)    

뮤지컬 <명성황후>


창작 뮤지컬은 국내 제작진이 직접 연출하고 우리나라에서 창작한 공연으로 부족하거나 보완해야 하는 부분의 수정이 자유로워 초연이후 공연 횟수가 늘어날 수록 완성도가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다룬<명성황후>, 안중근 의사의 일생을 다룬 <영웅>, 서민들의 일상을 작품으로 만들어낸 <빨래> 등이 있습니다. 특히 <명성황후>는 1995년 초연이래 국내는 물론 미국, 영국 등에서 18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국내 창작뮤지컬의 기준을 제시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뮤지컬(License Musical)

뮤지컬 <레베카>


국내에서 창작한 것이 아닌 외국에서 제작된 뮤지컬 작품을 들여와 '로열티'를 지불하고 공연을 하는 뮤지컬입니다.  오리지널 제작팀의 노하우를 전수받은 한국인 스태프가 기술을 담당하고 오디션을 통해 배우를 선정해 뮤지컬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작품성이나 흥행성을 어느정도 보장하고 있으므로 제작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작 그대로 공연되기도 하고, 대사나 넘버를 일부 변경하여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각색하여 공연되기도 합니다. 


대표 작품으로는 레베카, 지킬앤하이드, 마틸다 등이 있습니다.


오리지널(Original) 내한 뮤지컬

뮤지컬 라이온킹 오리지널팀 내한공연


뮤지컬의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는 나라의 오리지널 배우 또는 극단이 한국을 방문하여 원어 그대로 진행하는 공연을 말합니다. 원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큰 스크린을 통해 자막을 함께 보여줍니다.


대표적인 공연으로는 캣츠 오리지널팀 내한공연, 라이온킹 월드투어 등이 있습니다.


주크박스 뮤지컬(Jukebox Musical)

뮤지컬 <그날들> 사진출처: 한국경제


동전을 넣으면 노래가 흘러나오는 기계를 말하는 주크박스(jukebox)에서 유래된 <주크박스 뮤지컬>은 인기를 얻은 대중음악의 기존 히트곡을 엮어 무대용으로 재가공한 뮤지컬을 말합니다. 원곡을 살려 그대로 공연을 하기도 하지만, 새롭게 편곡을 하여 공연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크박스 뮤지컬 중 <그날들>은 세상을 떠난 故 김광석의 음악을 새로운 감각으로 만날 수 있는 뮤지컬로 청와대 경호원실을 배경으로 20년전 사라진 '그 날'의 미스터리한 사건을 쫓는 이야기로 '부치지 않은 편지', '이등병의 편지', '서른즈음에', '변해가네', '사랑했지만' 등 귀에 익숙한 명곡들이 감성을 자극합니다.


액터-뮤지션 뮤지컬(Actor-musician Musical)

뮤지컬 <고래고래> 사진출처: 뉴데일리 신문


액터-뮤지션 뮤지컬은 배우가 무대에 연기와 노래뿐아니라 연주까지 직접 하는 뮤지컬을 말합니다. 대표작품으로는 <모비딕>, <헤드윅>, <고래고래>, <오디션> 등 록밴드가 주축이 되는  콘서트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고래고래>처럼 배우가 일부 곡만 연주하는 경우도 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전 곡을 소화하기도 합니다. 출연하는 배우가 연기와 연주에 능해야 하므로 캐스팅이 쉽지않고 악기부터 무대 동선 등 공연전 고려해야할 제약이 많아 다른 뮤지컬에 비해 공연 횟수가 적은 편이지만, 그럼에도 음악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기에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송스루 뮤지컬(Song Through Musical)


송스루 뮤지컬은 말 그대로 노래(Song)가 극 전체를 관통하는(Through) 뮤지컬입니다. 송스루 뮤지컬의 가장 큰 특징은 ‘대사가 없다 ’는 것입니다. 극이 시작하면서부터 막을 내리기까지, 모든 대사의 전달은 노래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레 미제라블>, <노트르담 드 파리>, <지저스크라이스트수퍼스타>, <요셉어메이징> 등이 있습니다. 특히 <레 미제라블> 같은 경우 뮤지컬의 흥행 이후에 2012년 영화로도 제작되어 많은 호응을 얻었는데, 영화에서도 역시 송스루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레 미제라블>의 넘버가 가진 힘과 울림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댄스 뮤지컬(Dance Musical)

뮤지컬 <사랑하면 춤을 춰라>


댄스 뮤지컬을 춤을 활용해 뮤지컬로 완성한 작품을 말합니다. 현대무용, 발레, 재즈, 힙합 등 여러 장르의 춤꾼들로 구성된 배우들이 등장해 화려한 댄스로 모든것을 표현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비보잉을 하는 남자주인공과 발레리나의 사랑을 그리나<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사랑을 하는 모든 순간을 언어가 아닌 춤으로 만들어가는 넌버벌 퍼포먼스 형식의 공연으로 기쁨은 탭댄스, 사랑의 과정은 정열적인 탱고, 커플 댄스 등 공연의 시작부터 끝까지 춤으로 이루어진 <사랑하면 춤을 춰라> 등이 있습니다.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란?

대사가 아닌 몸짓과 소리, 즉 리듬과 비트만으로 구성된 비언어 퍼포먼스를 뜻한다.


이렇게 뮤지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가볍게 뮤지컬을 즐기는 팬들에게 조금은 쉽게 다가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뮤지컬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